라벨은 말이고, 결정은 증빙입니다- 시험성적서(COA) 확인까지 한 화면에서

라벨은 ‘말’이고, 결정은 ‘증빙’입니다.
시작은 문구일 수 있지만, 끝은 반드시 인증서와 시험성적서로 확인되어야 합니다.

라벨 문구와 인증서, 그리고 COA: 말은 가볍게, 증빙은 정확하게

COA, GMP, 인증서와 라벨 비교 - 정확한 증빙 자료 확인의 중요성
목차
1. 체크박스 훅
2. 결과 해석
3. 식물성 이해하기
4. 비건은 인증서
5. 할랄·코셔 확인
6. 발효는 공정 설명
7. 라벨→인증서→COA
8. 후킹 | 7문 7답
9. COA 기본 틀
10. 20초 미니 흐름도 & 세 줄 요약
11. 맺음

체크박스 훅 | 지금 O/X로 점검

1) [ ] 라벨에 적힌 제품명·규격·포장단위가 인증서와 같습니다.
2) [ ] 비건/할랄/코셔 인증서에 기관명·범위(원료/제조/포장)·유효기간·인증번호(또는 조회 URL)가 모두 있습니다.
3) [ ] 인증번호(또는 링크)로 기관 사이트에서 조회 시 ‘현재 유효’로 확인됩니다.
4) [ ] COA의 배치번호(LOT)·발급일자·발급기관이 라벨/상세 정보와 일치합니다.
5) [ ] COA 표에 순도·불순물·잔류 용매·중금속·미생물 항목이 빠짐없이 있으며, 기준과 현재치가 함께 보입니다.
6) [ ] 안정성 자료(가속/장기) 요약이 있고, 포맷(캡슐/파우더/복합)과 보관 권장사항이 연결됩니다.
7) [ ] ‘식물성’ 표기 시 원료 리스트/COA에 동물성 성분 배제 근거가 보이고, 교차오염 관리 문구도 있습니다.

결과 해석

- O 6~7개: 말·절차·숫자가 잘 맞물린 상태(안심 구간)
- O 3~5개: 비어 있는 항목 보완 문의 후 결정(보류 구간)
- O 0~2개: 문구 중심 안내 가능성 큼(재검토 구간)

식물성(plant-based), 어디까지로 이해?

‘식물성’ 표기는 보통 원료 출발점이나 레시피 의도를 말합니다. 이 말이 자동으로 ‘비건 인증’을 뜻하진 않습니다. 그래서 두 가지만 확인해 보세요. (1) 원료 리스트나 COA에서 동물성 유래 성분 배제 근거가 보이는지. (2) 제조·포장 단계의 교차오염 관리 기준이 적혀 있는지. 여기까지 확인되면 ‘식물성’의 실제 범위가 분명해집니다.

비건은 지향이 아니라 인증서

비건은 정식 인증 제도입니다. 확인 포인트는 네 가지: 기관명(어디서 발급), 범위(원료/제조/포장), 기간(유효기간·갱신 여부), 번호/URL(기관 페이지에서 대조 가능). 라벨의 ‘비건 지향’ 문구와 인증서에 찍힌 ‘비건 인증’은 다릅니다. 말은 가볍게, 번호는 정확하게.

할랄·코셔: 문화·신앙의 약속, 확인은 서류로

할랄(이슬람), 코셔(유대교) 인증은 원료·공정·세척·보관·라벨까지 기준이 함께 갑니다. 네 가지만 보세요: 기관/지역, 범위(원료/제조/포장·설비/라인), 기간(최신 발급·갱신), 표기 일치(제품명·규격이 라벨과 같음). 마크만 보고 지나가면 절반만 본 겁니다. 인증서 사본이나 번호 조회까지 보아야 ‘현재 유효’가 확인됩니다.

‘발효’는 공정 설명일 때가 많습니다

발효는 “미생물·효소 공정을 일부 사용했다”는 설명일 뿐, 그 자체가 품질 보증은 아닙니다. 결과를 가르는 건 COA(시험성적서), GMP/ISO, 안정성 자료입니다. 발효 문구가 보이면 정제·검사·관리 자료를 나란히 확인해 주세요.

라벨 → 인증서 → COA, 한 화면에서 겹쳐 보기

1) 라벨: 식물성/비건/할랄/코셔/발효 같은 ‘말’을 확인(출발점)
2) 인증서: 기관·범위·기간·번호(또는 URL)로 유효성 검증(절차)
3) COA: LOT·일자·기관 일치 → 표(순도·불순물·잔류 용매·중금속·미생물) → 안정성 요약(숫자)

세 장이 모순 없이 맞물리면 기본기는 단단합니다. 한 장이라도 빠지거나 불일치하면 판단은 잠시 멈추는 쪽이 안전합니다.

후킹 | 7문 7답 O/X

1) “식물성” 표기만 있으면 비건 인증이다. ( ) → X일 경우: 비건 인증서 PDF/번호/유효기간/범위 확인
2) 비건 인증이 있으면 품질도 자동 보장된다. ( ) → X일 경우: COA 표와 안정성 자료 확인
3) 할랄/코셔 마크만 보면 충분하다. ( ) → X일 경우: 기관·범위·기간·코드로 기관 페이지 조회
4) COA 배치(LOT)가 라벨과 달라도 괜찮다. ( ) → X일 경우: LOT·일자·기관 일치가 최우선(불일치 시 보류)
5) 잔류 용매 표가 없지만 순도가 높으니 문제없다. ( ) → X일 경우: ICH Q3C 기준 대비 현재치 표기 필수
6) “GMP 기반 관리”면 실제 GMP 인증과 같다. ( ) → X일 경우: 인증서 사본/번호로 기관·기간·범위 대조
7) ‘발효’ 표기가 있으면 품질 보증과 같다. ( ) → X일 경우: 발효는 공정, 품질은 COA·GMP·안정성으로 확인

COA 기본 틀—텍스트 예시와 해설

문서명: 시험성적서(Certificate of Analysis)
제품명: NMN Powder 99% (HPLC)
배치번호(LOT): NMN2407-KR01
발급기관: ABC Labs, ISO/IEC 17025 인증
발급일자: 2025-07-28

1) 기본 — 방법: HPLC(순도), ICP-MS(중금속), GC(잔류 용매), 일반세균시험(미생물) / 내부 규격: 순도 ≥ 99.0%
2) 순도(HPLC): 99.3% (합격)
3) 불순물: 특정 A < LOQ / 특정 B: ND / 총 불순물: 0.4%
4) 잔류 용매(ICH Q3C): 메탄올 32 ppm(≤3000), 에탄올 58 ppm(≤5000), 아세토니트릴 ND(≤410) — 합격
5) 중금속(ICP-MS): Pb 0.032 ppm(≤0.5), As 0.015 ppm(≤0.3), Cd/Hg ND(≤0.3/0.1) — 합격
6) 미생물: 총세균 < 100 CFU/g(≤1000), 대장균군·황색포도상구균 불검출 — 합격
7) 안정성(요약): 가속(40℃/75%RH, 3개월) 순도 99.2→99.1 유지 / 장기(25℃/60%RH) 1개월 이상 무변화(진행 중)

COA는 세 갈래만 잡으면 충분합니다. ① LOT·일자·기관으로 ‘신원’ 맞추기. ② 표에서 ‘기준과 현재치’를 나란히 보기. ③ 잔류 용매·중금속·미생물·안정성처럼 ‘깨끗함과 지속’을 말하는 항목이 빠짐없이 있는지 확인하기.

20초 미니 흐름도

라벨(말) → 인증서(절차) → COA(숫자) = 말로 시작해도, 끝은 숫자와 번호로.

세 줄 요약
① 인증서: 기관·범위·기간·번호(또는 조회 URL)
② COA: LOT·일자·기관 일치
③ COA 표: 순도·불순물·잔류 용매·중금속·미생물 + 안정성
추천 태그 #라벨, 인증서, COA, 시험성적서, 비건인증, 할랄, 코셔, 발효공정, GMP, ISO, LOT, 잔류용매, 중금속, 미생물검사, 안정성시험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함께 보면 좋은 글

티 없이 웃는 하루를 만드는 긍정의 힘: 과학과 습관으로 설계하는 감정 주권